부산광역시 서구신문 스킵네비게이션

독자광장

특별기고-6.25전쟁 극복과 대한민국 재건의 시작점, 부산 서구(전성현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 2025-06-26 10:47:02
  • 문화관광과
  • 조회수 : 50

특별기고-6.25전쟁 극복과 대한민국 재건의 시작점, 부산 서구(전성현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특별기고-6.25전쟁 극복과 대한민국 재건의 시작점, 부산 서구(전성현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특별기고-6.25전쟁 극복과 대한민국 재건의 시작점, 부산 서구(전성현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특별기고-6.25전쟁 극복과 대한민국 재건의 시작점, 부산 서구

 
전성현 교수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6.25전쟁 75주년을 맞이한 6월, 과거를 돌이켜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서구는 특별한 역사적 경험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미 알고 있듯이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에 의해 시작된 이 전쟁은 미군(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까지 참전하면서 국제전으로 확대됐고, 3년간 이어졌다. 낙동강 이남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전쟁터였기 때문에, 한반도에 수많은 피해와 상처를 남겼다. 그 폐허의 터전 위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재건과 이후 눈부신 성장은 다양한 요인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전쟁 시기 정부와 국민의 피란을 기꺼이 받아들여 한 편을 내어준 부산, 더 나아가 서구의 피란지가 없었다면 가능했을까. 전쟁의 위기 속에 정부와 국민의 피란처가 없었다면 위기의 극복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자체도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서구는 전쟁 위기의 극복과 대한민국 재건이 시작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는 당시 경상남도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였다. 그런데 이에 더해 정부까지 이전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이 됐다. 서구에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모두 위치했던 것이다. 행정부로는 대통령 거주의 경무대와 정부 청사가, 입법부로는 국회가, 그리고 사법부로는 대법원이 각각 경상남도청사(무덕관)와 부산지방법원에 들어섰다. 정부 청사에는 대통령과 부통령·국민총리 ·내무부 비서실, 외무부, 국방부, 법무부, 관재청, 국무회의소, 총무처, 법제처, 기획처가 자리잡았다. 대통령이 거주하는 경무대와 국무회의소, 그리고 국회가 위치한 정부 청사 구역은 전쟁의 위기를 극복하고 수백만 전재민을 위한 구호 정책을 수립한 중요한 장소였다.
 
또한 정부 청사에는 `전시긴급구호계획을 추진하는 유엔민사원조사령부가 위치하며 한국 정부와 함께 한국인의 질병, 기아, 불안을 예방하기 위한 민간인 구제와 구호 활동을 전개했다. 미국과 유엔 및 산하기구 또는 회원국으로부터 수많은 구호물자가 부산항을 통해 들어와 유엔민사원조사령부와 한국 정부를 거쳐 피란민과 전재민에 전달되는 등 전쟁의 위기 극복에 줄곧 이바지했던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서구는 피란민들의 거주와 삶을 위한 장소로서도 기능했다. 일제강점기 30만 정도 규모의 도시였던 부산은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함께 부산항으로 다시 돌아온 `귀환동포로 인해 6.25전쟁 직전 50만 명에 육박했다. 여기에 피란민까지 더해지자, 부산은 일약 100만 명이 거주하는 도시가 됐다. 거주 공간은 물론이고 사회 기반 시설도 열악했다. 하지만 다양한 영역에서 피란민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자리를 내어주기 시작했다. 특별히 서구에는 죽음의 장소를 삶의 장소로 변화시킨 상징적인 공간도 존재했다.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이 그곳이다. 또한 대표적인 아동 구호 시설인 행복산 고아원과 아동병원이 들어섰던 곳이었다. 나아가 피란 온 학생들의 교육도 이 지역에 설립된 다양한 형태의 학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비록 현재의 시선으로 보면 과거의 남루한 모습일지 모르지만, 그때의 모습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중한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유산을 과거의 한 때로 보지 말고 현재와 미래의 삶의 지혜로 언제든 기억하기 위해 소중한 유산으로 보호하고 보존하며 기억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피란수도 부산유산은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서구의 지역성을 담보한 우리의 유산일 것이다.

서구청 홈페이지 내 게시된 자료는 공공누리 출처표시 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서구청 홈페이지 내 게시된 자료는 공공누리 출처표시 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만족도 정보 입력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