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서구신문 스킵네비게이션

생생소식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 2023-08-30 16:43:18
  • 문화관광과
  • 조회수 : 325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최초, 최고, 유일의 기록...서구 베스트 레코드 소개합니다


1.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 & 정부청사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 서구의 가치 알릴 기회

6.25전쟁기 1천23일간 부산은 대한민국의 임시수도였다. 전국에서 밀려드는 수십만 명의 피란민들을 모두 보듬고 피폐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국난을 이겨내는 동력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서구가 있었다. 당시 부민동에 위치했던 경남도지사 관사가 대통령관저(현 임시수도기념관)가 됐고, 경남도청이 정부청사(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가 됐던 것이다. 두 건축물이 격동의 한국 현대사를 증언하고 그 중심이었던 서구의 역사적 가치를 말해주는 상징인 셈이다.
 
이 가운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는 경남 진주에 있던 경남도청이 부민동으로 옮겨오면서 1926년 8월 경남도지사 관사로 지은 것이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 다시 경남도지사 관사로 사용되다가 경남도청이 경남 창원으로 옮겨가면서 임시수도 부산의 위상과 역사성을 기념하기 위해 1984년 현재의 임시수도기념관으로 조성했다. 벽돌조의 2층 가옥인 임시수도기념관은 1층은 응접실·서재 등 8개의 방으로, 2층은 집무실·마루방으로 구성돼 당시의 실내구조와 분위기를 재현하고 있다.
 
임시수도 정부청사의 역사는 더욱 파란만장하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 경남도청으로 지어진 뒤 6.25전쟁기에는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전쟁이 끝난 뒤에는 다시 경남도청으로 재사용되다가 경남도청이 창원으로 옮겨간 뒤에는 부산지방검찰청과 부산지방법원이 들어섰다.
 
이후 동아대학교가 이곳을 인수한 뒤 2009년 현재의 석당박물관으로 개관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 자체가 지니는 이같은 역사성 때문에 석당박물관은 `문화재 속의 문화재'로 불린다. 석당박물관은 국보·보물 등 2만7천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데 전국 대학박물관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한편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와 정부청사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작업이 진행 중이다. 등재 대상은 두 건축물을 포함해 건축물형 유산 5개소와 아미동 비석마을 피란 주거지 등 장소형 유산 4개소이다. 세계유산 등재에 앞서 지난해 12월 잠정목록 등재가 결정됐는데 등재가 최종 결정되면 서구의 인지도나 위상도 그만큼 올라가게 된다.
 
(문의 기획감사실 240-4016)

서구청 홈페이지 내 게시된 자료는 공공누리 출처표시 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서구청 홈페이지 내 게시된 자료는 공공누리 출처표시 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만족도 정보 입력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