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부산광역시 서구 아동친화예산서 공개 ★
- 2022-04-26 16:37:25
-
- 조회수 : 270.
-
1. 아동예산지수가 238(100이상)로 만 18세 미만 시민에게 지출되는 예산(1인당 6,502천원)이 만 18세 이상 시민에게 지출되는 예산(1인당 2,730천원)보다 더 큼
2. 유니세프 아동친화도 6가지 영역에 따른 예산분석결과
사업개수는 ①보건과 사회서비스(102개), ②교육환경(88개), ③놀이와 여가(84개), ④참여와 시민의식(82개), ⑤안전과 보호(75개), ⑥가정환경(61개) 순이며,
사업예산은 ①보건과 사회서비스(27.5%), ②교육환경(21.7%), ③가정환경(16.9%), ④안전과 보호(13.8%), ⑤놀이와 여가(13.8%), ⑥참여와 시민의식(6.3%) 순임
3. 유니세프 아동권리 4가지 영역에 따른 예산분석결과
사업개수는 ①보호권(177개), ②발달권(139개), ③생존권(113개), ④참여권(82개) 순이며,
사업예산은 ①보호권(34.1%), ②생존권(30.4%), ③발달권(29.7%), ④참여권(5.9%) 순임
4. 생존, 발달, 보호권 영역은 다양한 사업을 통해 보장되고 있으나, ‘참여와 시민의식’ 및 ‘참여권’ 영역은 사업의 성격상 단위 사업당 사업비 규모가 작아 사업개수 대비 예산 비중이 낮은 편이나, 정책아이디어 주민공모전, 서구 도서관 아이디어 공모전, 아동권리 알리기 그림 공모전, 아동·청소년의회 운영 등 아동의 참여권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사업 발굴을 통해 아동의 참여권에 대한 지역사회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추세
5. 사업유형별 아동친화예산을 살펴보면 사업대상이 모두 만 18세 미만인 직접아동예산이 전체아동친화예산의 60.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사업대상이 전체 구성원인 예산은 29.0%, 사업대상 일부가 만 18세 미만인 부분아동예산은 10.2%로 분석됨
6. 사업대상별 아동친화예산을 살펴보면,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 전체 아동친화예산의 65.2%를 차지하며, 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예산은 34.8%임. 세부적으로 저소득 및 한부모가정 아동 대상 21.9%,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3.6%, 장애아동 대상 3.2%, 학교 밖 아동 대상 2.9%, 기타 취약계층 아동 대상 예산은 3.1%로 분석됨
7. 사업연령별 아동친화예산을 살펴보면, 아동전체(만0~17세) 대상 예산이 55.8%로 아동친화예산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미취학(만0~6세) 36.5%, 어린이(만7~12세) 4.7%, 청소년(만13~17세) 3.0%로 영유아 대상 예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됨
8. 아동친화도시 4개년 중점사업별 아동친화예산 분석 결과, 총 30개 중점사업과 관련된 예산은 43개 세부사업, 9,958,948천 원으로 총 예산의 14.5%를 차지함. 이중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국비 3,000,000천 원은 1차 추경시 반영 예정으로 본예산을 기준으로 분석한 현 아동친화예산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