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조사목적 : 구민생활과 의식의 실태 파악을 통해 구민 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정도를 측정하여 지역 사회 개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기준시점 : 2024. 8. 23. 0시 현재
조사기간 : 2024. 8. 23. ~ 9. 12.(21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15세 이상 가구원
조사방법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조사항목 : 64개 항목(공통항목 60개, 구 특성항목 4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 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23년
조사목적 : 구민생활과 의식의 실태 파악을 통해 구민 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정도를 측정하여 지역 사회 개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기준시점 : 2023. 10. 11. 0시 현재
조사기간 : 2023. 10. 11. ~ 11. 1.(22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15세 이상 가구원
조사방법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조사항목 : 58개 항목(공통항목 54개, 구 특성항목 4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 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22년
조사목적 : 구민생활과 의식의 실태 파악을 통해 구민 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정도를 측정하여 지역 사회 개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기준시점 : 2022. 9. 20. 0시 현재
조사기간 : 2022. 9. 20. ~ 10. 11.(22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15세 이상 가구원
조사방법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조사항목 : 65개 항목(공통항목 60개, 구 특성항목 5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 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21년
조사목적 : 구민들의 생활, 의식의 실태 파악을 통해 구민생활의 질적측면과 전반적인 복지정도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개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기준시점 : 2021. 11. 4. 0시 현재(최초 조사기간 기준)
조사기간 : 2021. 11. 4. ~ 11. 24.(21일간)
조사대상 : 관내 1,064개 표본가구 내 만 15세 이상 가구원 1,824명
조사방법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조사항목 : 59개 항목(공통항목 54개, 구 특성항목 5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 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20년
조사목적 : 구민생활과 의식의 실태 파악을 통해 구민 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정도를 측정하여 지역 사회 개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기준시점 : 2020. 8. 26. 0시 현재 (최초 조사기간 기준)
조사기간 : 2020. 8. 26. ~ 9. 15.(21일간)
조사대상 :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15세 이상 가구원
조사방법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및 인터넷 조사
조사항목 : 62개 항목(기본항목, 공통항목, 구 특성항목)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 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19년
조사목적 : 구민들의 생활, 의식의 실태 파악을 통해 구민생활의 질적측면과 전반적인 복지정도를 측정하여 개발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함.
조사기준시점 : 2019. 8. 19. 0시 현재
조사기간 : 2019. 8. 19. ~ 9. 8.(21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 15세 이상 가구원
조사항목 : 노동, 주거·교통, 문화·여가, 사회통합, 소득·소비 부문 등 76개 항목 (공통항목 71개, 구 특성항목 5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18년
조사목적 : 주민생활, 주민의식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주민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개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함.
조사기준시점 : 2018. 8. 30. 0시 현재
조사기간 : 2018. 8. 30. ~ 9. 19.(21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 15세 이상 가구원
조사항목 :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가족관계등 74개항목 (기본항목 17개, 공통항목 53개, 구 특성항목 4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17년
조사목적 : 주민생활, 주민의식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주민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개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함.
조사기준시점 : 2017. 9. 1. 0시 현재
조사기간 : 2017. 9. 1. ~ 9. 21.(21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 15세 이상 가구원
조사항목 : 노동, 주거·교통, 문화·여가, 소득·소비 부문 등 62개 항목 (공통항목 57개, 구 특성항목 5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16년
조사목적 : 주민생활, 주민의식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주민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개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함.
조사기준시점 : 2016. 9. 22. 0시 현재
조사기간 : 2016. 9. 22. ~ 10. 12.(21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 15세 이상 가구원
조사항목 :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가족관계등 74개항목
(기본항목 17개, 공통항목 53개, 구 특성항목 4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15년
조사목적 : 주민생활, 주민의식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주민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개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함.
조사기준시점 : 2015. 8. 17. 0시 현재
조사기간 : 2015. 8. 17. ~ 8. 28.(12일간)
조사대상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만 15세 이상 가구원
조사항목 : 취업경쟁력 요인, 주거·소득 만족도 등 75개 항목
(기본항목 15개, 공통항목 54개, 구 특성항목 6개)
참고사항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2014년
1. 이 자료는 가구·가족, 교육, 주거·교통, 문화·여가, 환경, 정보·통신 부문에 대하여 부산내 17,784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 35,978명을 대상으로 2014.8.27.~9.16.(21일간) 동안 조사된 내용을 집계한 것임.
2. 각 통계표에서 지표의 성격에 따라 조사대상 기간(시점)에 차이가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람.
「지난 1년」 : 2013. 9. 1.~2014. 8.31.동안임
「지난 1주일」 : 2014. 8.18.~2014. 8. 24.동안임
3. 부산사회조사의 결과는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관련통계 결과와 다를 수 있음.
4.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5. 통계표에 사용된 부호의 뜻은 다음과 같음.
- : 해당숫자 없음 단, 직업별 응답자료의 농어업 수치는 기능노무에 포함함. (부산시, 강서구, 기장군은 제외)
0.0 : 단위미만 (0포함)
6. 수록된 자료에 대하여 문의사항이 있을 시에는 부산광역시 평가담당관실 (☎051-888-1774)로 연락하시기 바람.
7. 구 특성항목은 서구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으며, 서구 기획감사실(☎240-4031)로 연락하시기 바람.
2013년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에 의거 승인된 일반통계 제20205호
조사목적
시민생활, 시민의식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시민생활의 질적 측면과 전반적인 복지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사회 개발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함
조사기간
2013.10. 7. ~ 10.31.(25일간)
조사대상
대상가구 : 서구 관내 56개 표본조사구 내 1,064개 표본가구
가구 내 만15세 이상 가구원
조사항목 : 가구원 현황 및 소득, 소비, 환경 등 63개 항목
공통항목 18, 시 조사항목 34, 구 특성항목 15